오늘의 이야기
-
도대체 PO란 뭔데? "유난한 도전"을 읽고.
*이 글은 유난한 도전을 읽은 후 PO란 무엇인지 개인적인 생각을 적은 글입니다. PO가 무엇인지 정의해 주는 아티클이 아닙니다. 저 또한 함께 고민해 가는 과정 중 하나로 기록한 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몇 년 전부터일까? 채용 사이트에서 "서비스 기획자"라는 구인 글이 적어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Product Manager(이하 PM)를 구한다는 글들이 심심치 않게 보이기 시작했죠.그에 따라 제 직함도 PM으로 변하게 되었습니다. 서비스 기획자에서 PM으로 변한 것이었죠.직무 변경 후 제 역할이 넓어졌음이 확실히 체감되었습니다. 단순히 제품 기획만 하던 서비스 기획자 역할에서 제품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이 더해진 것이었죠. 그렇게 새로운 역할에 익숙해질 무렵이었습니다.업계에 Product..
2025.03.18
-
화면설계서(스토리보드)란?
IT 제품이나 서비스를 기획할 때, 아이디어나 요구정의서를 구체화하고 개발자,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설계 문서가 필요합니다. 그중에서도 화면설계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죠.이번 글에서는 화면설계서란 무엇이고, 왜 작성해야 하는지, 그리고 화면 설계서의 구성 요소는 무엇이고 어떤 툴을 이용해 작성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면설계서란 무엇인가요?화면설계서는 스토리보드(Storyboard)라고도 불리며 서비스의 화면 구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세부 기능을 명시한 문서입니다.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 기능 구성, 화면 전환이나 흐름, 인터렉션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디자이너나 개발자가 작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화면설계서를 왜 작성해..
2025.03.17
-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환경에서 몰입감 높은 경험을 설계하기
모바일이 대중화된 요즘, 조금만 검색해도 최적화된 모바일 경험을 위한 UX 설계 관련 글들을 접할 수 있는데요.하지만 스마트 글라스를 활용한 최적화된 XR 환경 UX 설계 글들은 비교적 찾기가 어렵습니다.오늘은 그래서 XR 환경에서 몰입감 높은 경험을 설계했던 노하우 일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XR이란 확장현실이란 의미로 혼합현실(MR), 증강현실(VR), 가상현실(VR)을 모두 내포한 의미입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확인)https://hello-woody.tistory.com/21 AR/VR/MR/XR 증강현실이란 무엇인가?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술은 예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시장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AI, 블록체인과 함께 4차 산업을..
2025.03.14
-
키즈위드의 그림자 극장, "이야기 시네마" 사용 후기
안녕하세요. 직장과 육아를 병행하느라 한동안 블로그를 떠나 있었네요.오늘은 제가 가지고 있던 제품 중, 너무 좋았던 것을 리뷰하려고 합니다. 그것은 바로 그림자 극장!!! 키즈위드라는 유아 교구 브랜드에서 만든 그림자 극장 제품으로 정식 명칭은 "이야기 시네마"라고 합니다. 그림자 극장이요? 그것이 뭔가요?그림자 극장이란 그림자를 활용하여 만든 이야기 극장을 뜻하는데요. 유아 교구 브랜드인 키즈위드에서 이야기 시네마란 이름으로 들고 다니기 쉬운 미니 그림자 극장을 제품으로 만들었습니다.하루 종일 아이랑 함께 있다 보면 체력적으로 많이 지치지요?그렇다고 핸드폰을 쥐어줄 수 없는 일.핸드폰과 TV를 보여주기엔 찝찝했던 저희 부부에게 딱이었죠. 아이가 너무 좋아하는 그림자 극장!!사실 이 제품은 제가 구매한..
2025.03.14
-
6 자유도란? 6DoF란 무엇인가?
6자유도(6 Degrees of Freedom, 6DoF)란, 물체가 3차원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는 여섯 가지의 자유로운 방향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특히 로봇공학, 항공기, 드론에서 많이 쓰는 개념인데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6자유도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전진/후진 (앞/뒤 이동) 2.상승/하강 (위/아래 이동) 3. 좌우 이동 (왼쪽/오른쪽 이동) 4. 피치(Pitch) - 앞뒤로 회전 5. 요(Yaw) - 좌우로 회전 6. 롤(Roll) - 좌우로 기울기 6자유도 중 3자유도는 위치(Position)이며 나머지 3자유도는 자세(Orientation)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시 이미지 입니다. 이렇게 물체는 공간에서 세 가지 축을 따..
2024.08.21
-
AR/VR/MR/XR 증강현실이란 무엇인가?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술은 예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시장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AI, 블록체인과 함께 4차 산업을 이끌어갈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꼽히면서 AR, VR, XR 등 다양한 용어가 등장했습니다. AR(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에 디지털 정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입니다. 스마트폰이나 AR 안경을 통해 실제 환경 위에 가상 객체나 정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포켓몬 GO와 같은 게임이 대표적인 예입니다.VR(가상현실)은 사용자를 완전히 가상 세계로 몰입시키는 기술입니다. VR 헤드셋을 착용하면, 사용자는 가상의 환경 속에 들어가서 현실과는 전혀 다른 세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게임이나 가상 여행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M..
2024.08.16
-
프로젝트 시연 준비도 기획이다.
위기에 빠진 프로젝트에 투입되다.프로젝트 중간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프로젝트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저작 툴과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었습니다. 이전 PM님의 퇴사로 PL인 제가 다음 PM이 오기 전까지 프로젝트를 맡아야 했습니다.인수인계가 부족했고, 남은 시간 역시 부족했습니다. 새로운 PM님이 오셨어도 히스토리를 모르셨기에 제가 어느 정도 리딩이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프로젝트에 투입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중간 시연 날이 다가왔습니다. 연계된 다른 세부 파트들도 모두 자신들의 콘텐츠를 들고 왔습니다. 각자의 사유는 달랐지만, 동기화를 보여주기 위해, 건설 사례를 보여주기 위해 모두 콘텐츠를 활용해서 시연하였습니다.당연히 저희는 준비 시간이 부족해 콘텐츠 퀄리티가 떨어졌고, 중간 평가 결과는 좋지 ..
2024.08.08
-
긍정적인 말이 주는 선한 영향력
일을 하다 보면종종 어려움에 부딪히게 됩니다. 스스로도 확신하지 못하는 상황에 부닥칠 때마다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은 주변 동료들의 긍정적인 생각 덕분이었습니다.“무사히 잘 마칠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에는 언제나,“잘 되게 해야죠!”라거나“걱정하지 마세요. 잘될 거예요.”라는 대답을 들었습니다.신규 기능 시연을 하거나 기존 코드들이 발목을 붙잡을 때면“제품을 믿어보세요.”“우리 제품 정말 괜찮지 않아요?”라는 확신을 주는 동료들이 있었습니다.덕분에 제품의 사용성은 나날이 좋아졌고, 긍정적인 피드백도 쌓여가고 있습니다.꼬여 있던 레거시 코드들은 점점 정리되었고, 비어있던 정책들도 대부분 채워졌습니다.우리 제품 정말 괜찮지 않아요?요즘은 제 스스로 말합니다.자신도 모르는 사이 긍정 전도사가 되어 동료의 언어..
2024.08.04
-
정량적 데이터 없이 문제 개선?
*서비스 기획 및 제품을 운영하면서 겪었던 일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Index서론그래도 정성적 데이터는 있잖아?정성적 데이터의 정량화 서론서비스 기획, PM, PO의 중요한 역량 중 하나로 데이터 기반 문제를 발견하고 지표를 개선하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하지만 제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일은 여간 쉬운 일이 아닙니다. 물론 데이터 인프라가 잘 구축된 곳이라면 그리 어렵지 않겠지만,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어려움이 많습니다.저는 주로 데이터 인프라가 잘 구축되지 않은 환경에서 일을 해왔습니다. 그렇다고 환경 탓만 할 수는 없는 법입니다. 제품에 대한 오너십이 주어졌고, 스프린트는 계속 돌아가고 있었으니까요.처음 떠올린 방법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B2B 구..
2024.08.02
-
스타일 가이드와 디자인 시스템 차이
디자인 시스템의 목적 디자이너와 디자이너, 디자이너와 개발자 혹은 기획자를 포함하여 플랫폼을 만들 때 소통하기 위하여 하나의 원칙을 정합니다. 이 원칙은 여러 사람들이 저작할 때 일관성 있게 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도우며 컴포넌트의 재사용률을 올려주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크게는 사용자에게도 일관적인 사용성을 제공합니다. 이 원칙을 디자인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디자인 시스템과 스타일 가이드 차이 스타일 가이드와 디자인 시스템 차이가 무엇일까요? 그전에 스타일 가이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타일 가이드는 컬러, 버튼, 폰트, 컴포넌트 디자인의 스타일에 대한 가이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작은 규모의 중소기업에서 플랫폼을 개발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며, 개발자와의 원활한 소통 및 일..
2022.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