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2

정량적 데이터 없이 문제 개선? *서비스 기획 및 제품을 운영하면서 겪었던 일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Index서론그래도 정성적 데이터는 있잖아?정성적 데이터의 정량화 서론서비스 기획, PM, PO의 중요한 역량 중 하나로 데이터 기반 문제를 발견하고 지표를 개선하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하지만 제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일은 여간 쉬운 일이 아닙니다. 물론 데이터 인프라가 잘 구축된 곳이라면 그리 어렵지 않겠지만,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어려움이 많습니다.저는 주로 데이터 인프라가 잘 구축되지 않은 환경에서 일을 해왔습니다. 그렇다고 환경 탓만 할 수는 없는 법입니다. 제품에 대한 오너십이 주어졌고, 스프린트는 계속 돌아가고 있었으니까요.처음 떠올린 방법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B2B 구.. 2024. 8. 2.
스타일 가이드와 디자인 시스템 차이 디자인 시스템의 목적 디자이너와 디자이너, 디자이너와 개발자 혹은 기획자를 포함하여 플랫폼을 만들 때 소통하기 위하여 하나의 원칙을 정합니다. 이 원칙은 여러 사람들이 저작할 때 일관성 있게 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도우며 컴포넌트의 재사용률을 올려주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크게는 사용자에게도 일관적인 사용성을 제공합니다. 이 원칙을 디자인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디자인 시스템과 스타일 가이드 차이 스타일 가이드와 디자인 시스템 차이가 무엇일까요? 그전에 스타일 가이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타일 가이드는 컬러, 버튼, 폰트, 컴포넌트 디자인의 스타일에 대한 가이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작은 규모의 중소기업에서 플랫폼을 개발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며, 개발자와의 원활한 소통 및 일.. 2022. 3. 18.
읽기 쉬운 데이터 테이블 디자인 B2B 솔루션 업계에 있다보면 생각보다 테이블 디자인을 많이하게 됩니다. 정보들을 차트로 시각화하는 작업도 많이하지만 테이블 속 정보들을 쉽게 읽히도록 하기 위해 고민을 많이하게 되죠. 핀터레스트, 비핸스, 드리블 같은 디자인 사이트에서 예쁜 레퍼런스를 보며 테이블 디자인을 하다 막혔던 부분, 어떻게 해야 테이블에 나열된 정보들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설계할까? 고민했던 부분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테이블 기본 구조 테이블이란 정보들을 2차원으로 표현한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과 열을 통하여 정보들을 관리합니다. 열의 상단에는 각 열을 어떻게 구성해야할지 기준을 제시합니다. 컬럼 명은 데이터 구성이 어떤 기준으로 되는지를 나타내며 테이블의 상단에 표시.. 2021. 12. 23.
반찬가게에서 만난 UX UX 디자이너가 반찬가게를 시작하게 된 배경이 이야기는 2017~2019년도 스타트업에서 겪은 저희 팀의 이야기 입니다.2017년 블록체인 시장이 한창 뜨거웠을 때 블록체인 스타트업에서 일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해외 블록체인 업계에서 한국에대한 관심이 매우 뜨거웠고 어떻게든 한국에 광고를 하고 싶어 하던 때에 광고 플랫폼을 만들어 운영하며 돈을 벌던 스타트업이었죠. 하지만 비트코인을 비롯한 모든 코인이 하락하면서 스타트업 회사도 문을 닫게 되었습니다.남은 멤버들끼리 다시 의기투합하여 차기 사업을 준비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반찬가게였습니다.그 당시 대표님의 장모님 요리 솜씨가 매우 뛰어나 그 맛에 반한 이유도 있었고 더반찬, 집밥연구소, 마켓 컬리 등 푸드 커머스 시장이 커지던 때라 희망차게 준비하였었습니.. 2021. 12. 21.
반응형